배열
배열... 왜 쓸까?(난이도 급상승)
하나의 배열내에 여러 자료의 데이터를 넣을수있다.
배열을 위해 반복문을 배웠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라고한다...
예제를 보자
//참조형 변수
//5개의 공간을 가지는 배열선언 int[ ] inArry = new int[5]; //문자열 5개 저장 배열 String[ ] strArray = new String[5]; //배열 선언시 가능 //선언시 공간의 크기를 지정 //크기는 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. int[ ] varArray = {1,2,3,4,5}; inArry[0]=20; strArray[0]= "min"; varArray[0]=10; System.out.println(inArry[0]); System.out.println(strArray[0]); System.out.println(varArray[0]); |
배열은 참조형 변수라고도 한다.
즉 변수가 값을 가지고있는 것이아닌 데이터의 위치값을 가지고있는것이다.
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.
1.방을 만들어놓고 나중에 값을 넣는방식
2.방을 만들고 그 안에 값도 같이 넣는방식(조건있음)
//배열 선언시 가능
//선언시 공간의 크기를 지정
//크기는 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.
코드를 보면
정수타입 과 문자열타입 마지막으로는 2번째 방법으로 배열의 방법을 작성했다.
변수명이 inArry인 int 타입 배열을 만들어주는데 방은 5칸이다.
여기서 중요한것.
배열은 0부터 시작한다. 즉 [5]이면
1,2,3,4,5 가 아니라 0,1,2,3,4 이렇게 5개이다.
첫번째 방(0) | 두번째 방(1) | 세번째 방(2) | 네번째 방(3) | 다섯 번째 방(4) |
첫번째 방에 정수 20을 넣을려면
inArry[0]=20;
이것이 배열에 값을 넣는방법이다.
두번째 방에도 값을 넣고싶다면
inArry[1]=20;
을 쓰면된다.
그리고 넣은 값을 출력하고싶을때는
출력하고싶은 방의 번지수를 입력하면 된다.
System.out.println(inArry[0]);
0번째 방의 값이 출력된다.
만약에!!
0번째 방부터 4번째 방까지 전부 출력하고싶다고
System.out.println(inArry[]); 또는
System.out.println(inArry); 이렇게 쓰면
첫째코드는 오류가 나게되고
두번째 코드는 방의 위치값이 나오게 된다.
전체값을 출력하고싶다면 반복문을 써야한다. -->예제 추가로 올릴예정
String 배열은 0번째 값에 min을 넣주어 출력하게 했다. (int타입 배열과 맥락이 비슷하니 생략)
마지막으로
2번 방법으로 작성한 배열도 varArry[0]=50;
이렇게 써주면 0번째 방에있던 1이 50으로 바뀌게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