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교시
---출력--- name = "김김민" age = 26 height = 111.11 print("이름은 %s 나이는%d 키는%.1f 입니다"%(name,age,height)) ---함수--- 어떤 기능, 역할을 하는것 ---데이터타입--- 정수형-int(%d) 실수형-float(%f) 문자-char(%c) 문자열-String(%s) 참/거짓-Bool True/Fale |
2교시
---문자열출력--- address = '''우편번호 12345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서울빌딩 501호''' address = "우편번호 12345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서울빌딩 501호" 문자열을 묶어준다. ---Index--- //첫번째 문자출력 s='Hello' print(s[0]) //마지막 번째 문자출력 s='Hello' print(s[-1]) ---문자열슬라이싱--- s='Hello Hi By' s[star:stop] s='banana' print (s[0:3]) s='Hello Hi By' print(s[0:5]) //Hello print(s[6:8]) //Hi print(s[9:11]) //By ---컬렉션--- ilst() -추가,수정,삭제언제나 가능 []or() students = ['장난감', '자동차', '컴퓨터'] ---append--- 값을 추가할려할때 사용한다. ---insert--- 원하는 위치에 값을 추가할때 사용한다. ---pop--- 값을 삭제할때 사용한다. ---type--- 변수의 타입을 알고싶을때 사용한다. tuple() - 생성하고 나면 변경불가능 () or tuple() students = ('자동차', '장난감', '컴퓨터') set() - 중복된 값의 저장불가능 {} or set() 순서X students = {'장난감','자동차', '컴퓨터'} s.remove("자동차") //자동차를 찾아삭제 자동차 없으면 오류남 s.discard("자동차") //자동차를 찾아삭제 자동차 없어도 오류안남 dict() - 키+값으로 관리 {k: v} or dict(a=1, b=2) 순서X #순서가 없으면 키값으로 불러옴. me = {'name':'min'} //값지정 me.setdefault('age',20) print(me) //update사용 me.update(age=25) print(me) //pop사용 me.pop("name") print(me) |
'(학) (공) (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.18(7일차) (1) | 2024.01.18 |
---|---|
01.17(7일차) (1) | 2024.01.17 |
01.16(4일차) (0) | 2024.01.16 |
01.15(3일차) (0) | 2024.01.15 |
01.11(2일차) (0) | 2024.0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