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교시
1. boolean boolean b= true; // 변수의 선언 boolean b1; //데이터의 대입, 데이터의 타입과 변수의 타입이 같지 않아 오류가 난다. b1 = 1; //옳은 코드 b1= false; 2. 문자형 - 문자형 데이터는 ' '에 한글자만 들어갈수있다. char ch ='A'; System.out.println("ch의값:"+ch); //숫자가 문자로 변환되서 출력 아스키코드 적용. char ch2 =65; System.out.println("ch2의값:"+ch2); 3.정수 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"); //-128~127 //byte 최대값 초과로 오류발생 byte b2 = 128; //-128~127 //옳은 코드 byte b2 = 127; short s= 32767; int n =550; System.out.println("b2의 값"+b2); System.out.println("s의 값"+s); System.out.println("n의 값"+n); 4.실수 //소수점이 있는 숫자 float f =3.14; //java에서는 실수들을 기본적으로 double타입으로 인식하기에 //float 자료형으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실수뒤에 f를 붙혀 명시해줘야한다. float f= 3.14f; //해결방법 double d = 1.23; System.out.println("d의값"+d); int myAge = 20; int yourAge = myAge; //myAge 값이 yourAge변수에 대입된다. System.out.println("내 나이:"+myAge); System.out.println("친구 나이:"+yourAge); //두변수에 들어가있는 값을 서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 int su1 = 20; int su2 = 30; int cup=0; System.out.println("수1:"+su1); System.out.println("수2:"+su2); cup=su1; su1=su2; su2=cup; System.out.println("\n수1:"+su1); System.out.println("수2:"+su2); |
2교시
1.타입변환 - promotion(자동형변환) //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는것 //기본적으로 같은 자료형끼리만 연산이 가능하다. //따라서 서로 다른 자료형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같은 자료형으로 변환해야한다. //promotion(자동형변환) //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변환할때 //byte -> short -> int -> long //정수형이 실수형으로 변환될때 double d = 100.5; //8byte int n =200; //4byte d=n; System.out.println("d="+d); //결과 200.0 //문자가 문자열로 변환될때 char c = 'A'; //2byte long l = 100; //8byte l=c; System.out.println(); //결과 65 - Demotion(강제형변환) //큰 컵의 물을 작은 컵에 옮겨담는것과 같다. //큰컵에있는 물의 양에 따라서 보존될수도 있지만 //넘칠수도 있다. //큰 자료형에서 작은 자료형으로 옮길때 //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있다. //(데이터 타입) 데이터 or변수 char c = 'B'; //2byte int n = 68; //4byte c = (char)n; //65 A, 66 B, 67 C, 68 D; // 결과:D System.out.println("c의값:"+c); float f = 5.5f; //4byte int n1 = 0; //4byte //크기가 같더라도 자료형이 다르면 강제로 형변환 해야한다. //float에서 int로 casting되면서 소수점 이하는 소실된다. n=(int)f; System.out.println("n의값:"+n); - 자바의 특징 byte b1 = 100; byte b2 = 20; //숫자를 계산하면 기본적으로 int형식으로 변환된다. byte b3 = (byte)(b1+b2); int b4 = b1+b2; - Scanner //데이터의 입력 //키보드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자유롭게 입력하는 방법 //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를 문자열로 얻기 위해서는 //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java.util 패키지에 있는 //Scanner 클래스를 이용해야한다. //다른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의 기능을 사용하려면 import를 해야한다. System.out.println("나이를 입력하세요"); //nextInt():입력받은 값을 int로 변환 int age = sc.nextInt(); System.out.println("당신의 나이는:"+age); //nextFloat():입력받은 값을 Float로 변환 //nextDouble():입력받은 값을 Double로 변환 //next():입력받은 값을 (String)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//nextLine():입력받은 라인 전체를 String타입으로 변환 //Scanner 사용후 닫아줘야한다. sc.close(); -Scanner 예제 String name,address; int age; double wegiht;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ln("이름 : "); name = sc.next(); System.out.println("나이 : "); age = sc.nextInt(); System.out.println("주소 : "); address = sc.next(); System.out.println("체중 : "); wegiht = sc.nextDouble(); System.out.println("당신의 이름은:"+name); System.out.println("당신의 나이는:"+age); System.out.println("당신의 주소는:"+address); System.out.println("당신의 체중은:"+wegiht); sc.close(); |
3교시
- operator(연산자) 연산이란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작업을 말한다. 연산은 항과 연산자로 이루어진다. 항은 연산에 사용되는 값을 의미하며, 연산자는 기호를 의미한다. 항과 연산자를 이용해 연산 과정을 나열한것을 연산식(expression) 이라고한다. 기본연산자의 종류 -자바는 사칙연산을 비롯해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하고있다. 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단항, 이항, 삼항 연산자로 분류할수있다. 사용 목적에 따라 산술, 증감, 대입, 비교, 논리, 비트등으로 분류할수있다. 최고연산자 .() 증감연산자 ++,-- 산술연산자 +,-,*,/,% 시프트연산자 >>,<< 논리연산자 &&,||,! 대입연산자 =, +=, -=, *=, /=, %= 삼항연산자 조건식? A:B -산술연산자 //사칙연산과 나머지값을 구하는 연산자로 나뉜다. //프로그래미밍에서 곱겜은 x가 아니라 *, 나눗셈은 /로 쓰인다. 기본연산자 예제 int n1,n2,n3; n1=20; n2=7; n3=n1+n2; //n1과 n2를 먼저 계산후 대입한다. System.out.println(n3); n3 = n1-n2; System.out.println(n3); n3 = n1/n2; //몫 System.out.println(n3); n3 = n1%n2; //나머지 System.out.println(n3); 산술변환 //기본적으로 이항 연산자의 연산은 두 피연산자의 타입이 //일치해야 연산이 가능하다. //컴퓨터는 서로 다른 타입을 계산하지 못하므로 값의 손실이 //적은쪽의 타입으로 맞춰서 계산을 한다. 데이터타입 변함 //long + int -> long + long ->long //float + int -> float +float ->float //double + float -> double + double -> double 대입연산자 //우변의 값을 좌변에 대입해준다. int i = 10; int i2 = 7; 복합대입연산자 //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가 합쳐진형태 //A = A +, -, *, /, % B int x=10; int y=1; y+=x; //y=y+x; System.out.println("y의값은:"+y); y*=x; //y=y*x; System.out.println("y의값은:"+y); y%=x; //y=y%x; System.out.println("y의값은:"+y); |
'(학) (공) (자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.04(6일차) (1) | 2024.01.04 |
---|---|
01.03(5일차) (1) | 2024.01.03 |
01.02(4일차) (0) | 2024.01.02 |
12.29(3일차) (2) | 2023.12.29 |
12_27(1일차) (1) | 2023.12.27 |